728x90

옛 선조들의 공예작품

 

 

공예는 일상생활 속의 살림살이에서 나타나는 만듦새와 꾸밈새로서, 우리 고유의 기술과 예술 감각 그리고 그것을 만들고 쓰던 사람들의 소박하고 참된 마음이 담겨있다.

우리나라 공예 기술의 완성도는 선사시대의 빗살무늬 토기나 청동기에서 훌륭히 증명 되었으며, 청동기시대 이후 국가 체제가 갖춰지고,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식물이나 종교와 관련된 물건을 만들게 되면서 공예는 더욱더 성장하게 되었다.

공예재료는 금속, 자개, 도자기 외에도 자연속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짚풀, 덩굴, 나무, 돌, 실, 말총, 종이, 쇠뿔 등을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소재들을 가지고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생활 속에서 필요한 물건들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공예는 한 사람이 일생동안 습득한 경험으로만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수천 년 동안 여러 세대를 거쳐 내려온 기술과 지식을 모두 포괄하기 때문에 무심한 듯이 만들어진 작은 물건 하나에서도 대대손손 전해 내려온 우리 고유의 문화를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하게 오래 살고, 자손을 많이 나아서 부귀공명을 이루고자하는 당대의 시대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조상들의 지혜가 오롯이 담겨있다.

 

 

상자, 반짇고리, 담배합
나전칠공예
화각공예
짚신, 농가월령가
종이공예품
돌공예
백자... 등
도자공예
백자편병, 백자발, 푼주
징, 궁글대
금속공예도구
금속공예
자물쇠
수본만들기, 쌍봉문, 문자문, 편복문
흉배

 

온양민속박물관에서.....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