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728x90
천연기념물 제500호 목포 갓바위


갓바위전설
아주 먼 옛날에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소금을 팔아 살아가는 젊은이가 있었는데 살림살이는 궁핍하였지만, 아버지를 위해서는 어떠한 일도 마다하지 않는 착한 청년이었다.
아버지의 병환을 치료하기 위해 부잣집에 머슴살이로 들어가 열심히 일했으나 주인이 품삯을 주지 않아 한 달 만에 집에 돌아와 보니 아버지의 손과 발은 이미 식어있었다.
젊은이는 한 달 동안이나 병간호를 못한 어리 석음을 한탄하며, 저승에서나마 편히 쉴 수 있도록 양지바른 곳에 모시려다 그만 실수로 관을 바다 속으로 빠트리고 말았다.
불효를 통회하며 하늘을 바라 볼 수 없다며 갓을 쓰고 자리를 지키다가 죽었는데, 훗날 이곳에 두 개의바위가 솟아올라 사람들은 큰 바위를 '아버지바위'라 하고 작은 바위를 '아들바위'라고 불렀다.
또 한 가지는 부처님과 아라한 (번뇌를 끊고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성자)이 영산강을 건너 이곳을 지날 때 잠시 쉬던 자리에 쓰고 있던 삿갓을 놓고 간 것이 바위가 되어 이를 중바위 (스님바위)라 부른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
.
.


목포 갓바위 명칭은 삿갓을 쓰고 있는 암석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약 8천만년전 화산활동에 따른 화산재가 굳어진 응회암이 파도에 따른 충격과 함께 바닷물과 염분이 암석 모양을 변화시킨 결과이다. 삿갓 모양 아래쪽 움푹 패인 부분은 끊임없는 파도와 염분에 의해 부서져 구멍이 생기게 되었고 이로 인해 패인 공간은 그늘로 인해 항시 젖어있는 상태에서 더욱 쉽게 부서지면서 확대 되었다. 삿갓 모양의 윗부분은 파도와 바닷물에 의해 암석에서 분해된 광물 성분 중 일부 풍화에 강한 광물들이 떠밀려 뒷부분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상부는 반복해서 햇볕에 마르게 되고 딱딱해지면서 현재의 삿갓모양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목포 갓바위는 파도와 염분 그리고 햇볕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로 암석이 지질학적으로
변해 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갓바위에는 슬픈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먼 옛날 소금을 팔며 병든 아버지를 모시면 젊은이가 약 값을 벌기 위해 집을 떠났다가 아와보니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알게 되었다. 젊은이는 슬픔과 후회하는 마음으로 갓을 쓰고 고개를 숙인 채 이곳에서 자리를 지키다 아버지와 아들 모두가 바위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
.









갓바위
전남 목포시 용해동 산86-24
영업시간 매일 06:00 - 23:00
설명
영산강 하구의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곳에 위치한 바위로 2009년 4월 27일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해식작용과 풍화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풍화혈로서 마치 삿갓을 쓴 사람의 형상으로 보인다 하여 갓바위라 불리운다. 이곳은 예부터 입암반조라 하여 목포8경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728x90
'국내여행 . 숙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의도 벚꽃축제 오늘(2023년 4월 1일)부터 입니다 (0) | 2023.04.01 |
---|---|
봄맞이 준비중인 춘천 공지천유원지 (0) | 2023.03.31 |
한국 33관음성지 제9호 고창 선운사 (0) | 2023.03.05 |
퍼플교 주변풍경 (0) | 2023.03.03 |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 World Tourism Organization) 선정 '세계 최우수 관광마을' 퍼플섬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