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릉도원 수목원에서 만난 튜울립

728x90

튜울립에 흠뻑 빠진 날이었습니다.

 

728x90
728x90

푸른수목원 오색정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 비올라

푸른수목원에 많은꽃이 예쁘지만 오늘은 비올라가 더욱 이뻐보이네요

728x90
728x90

728x90
728x90

부천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장미과 Rosaceae
만첩개벚
prunus verecunda  var.semiplena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나무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나무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나무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나무
무릉도원수목원 만첩개벚

728x90
728x90

2023년 4월 16일 부천 자연생태공원 튜울립

다음주 쯤에는 튜울립이 만개 할 것 같아요. 만개하면 더 이쁘겠죠? ^^

728x90
728x90

천연기념물 367호 고창 삼인리 송악

고창 삼인리 송악
송악
송악
천연시념물 367호 송악

 

 

 

송악은 두릅나뭇과에 속하는 덩굴식물이다.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 주변 물체에 달라붙어 올라간다. 주로 남부의 섬이나 해안지역에서 자라며, 대략 전북 김제시까지가 내륙의 북방한계선이다.

고창 삼인리 송악은 높이가 15m나 되며 줄기의 둘레가 0.8m에 이른다. 나무의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크기로 보아 적어도 수백 년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방한계선에 가까움에도 불구 하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송악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송악으로는 유일하게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되어 있다.

송악은 10월에 황록색 꽃을 피우고 다음 해 5월이 되면 포도송이 같은 열매를 맺는다. 송악의 줄기와 잎은 고혈압, 요통, 간염, 지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민간에는 송악 밑에 있으면 머리가 맑아 진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송악은 남부지방에서는 소가 잘 먹는다. 하여 소밥나무라 부르기도 하며, 상춘등(常春藤), 토고등(土鼓藤), 담장나무 등으로도 부른다.

 

728x90

+ Recent posts